[번역] 2013 부산국제영화제 리뷰 : <사이비>, 황량하면서도 통렬한 경험이었다 - TWITCH FILM

5 October 2013
***<사이비>개봉을 축하합니다 ^_^


2013 부산국제영화제 리뷰 : [사이비], 황량하면서도 통렬한 경험이었다

영한번역 이준호 (voidstrider@gmail.com)
2013, CC-BY-NC-SA

끔찍한 일이 도처에서 횡행하지만, 이를 무시하기 또한 쉽다. 가끔은, 눈앞에 당면한 일도 바로 보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인디 영화, 그중에도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작품들은 흔히 현실세계를 곧이곧대로 담아내면서 관객들을 계도하려 하지만, 항상 제작자들의 의도가 통하진 못한다. 실패하는 이유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이 문제이거나, 장면구성이나 연기 탓일 수도 있겠다.하지만, 무엇보다도 작품을 관람하는 우리 탓인 경우가 많다. 수십 년 동안 비슷한 경향으로 만들어진 작품은 이어지는데, 밋밋한 작품을 기피하려는 관람 경향은 이야기의 힘을 희석시키는 것이다.

2011년, 한국의 신예 애니메이션 감독 연상호는 [돼지의 왕]을 통해 등장했다. [돼지의 왕]은 한국 고등학교에서의 위계구조와, 고질적인 폭력을 적나라하게 다뤘다. 지브리의 알록달록함이나 픽사의 향수어린 정감 같은 것은 모조리 증발한 연상호 감독의 독특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꾸밈없고, 퍽퍽한 듯 하면서도 간결했다.

[번역] 한국 애니메이션, 마침내 볕들 날 올까? [가디언],2013.1.22

[The Guardian] Film 2013. Jan. 22.

한국 애니메이션, 마침내 볕들 날 올까?

일본 아니메에 오랫동안 가려 있던 한국 애니메이션이 점점 힘이 실린 펀치를 날리기 시작했다. 신작 {돼지의 왕}이 한국애니메이션의 상황을 눈 앞에서 보여주는 듯하다.

필 호드 Phil Hoad | 한글번역Translation 이준호 LeeJunHo

한국 애니메이션, 마침내 볕들 날 올까?
일본 아니메에 오랫동안 가려 있던 한국 애니메이션이 점점 힘이 실린 펀치를 날리기 시작했다. 신작 {돼지의 왕}이 한국애니메이션의 상황을 눈 앞에서 보여주는 듯하다.

필 호드 Phil Hoad | 한글번역Translation 이준호 LeeJunHo

슬픈 일이지만, 한국 애니메이션이 가장 널리 알려진 사연은 2010년, 뱅크시 덕분이다. 뱅크시 필름에서 <심슨가족>오프닝 타이틀을 제작한 적이 있는데, 오프닝에서 가난에 허덕이는 아시아지역 작가들을 작업장에 잔뜩 가둬놓고, 고혈을 짜내며 폭스TV에 납품할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뱅크시는 예의 슬로건처럼 단순화된 도덕관을 갖고 작업을 한 것이지만, 한국애니메이션이 남의 일을 도맡아 해왔다는 점은 사실이다. 실제로 1989년부터 <심슨가족> 시리즈의 원화 작업 일부를 서울의 애이콤 스튜디오(AKOM Studio)에서 맡아왔다. 물론 오프닝에 묘사된 노역장하고는 거리가 멀지만, 뱅크시는 한국애니메이션이 주로 하도급 일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황을 짚어냈다.

T-Shirts Design for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 뮤지엄 샵을 위한 티셔츠 디자인.
T-Shirts Design for Museum Shop product of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A Memorial space dedicated to victims and survivors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during WWII.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을 위한 티셔츠 디자인입니다. 
2013년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 뮤지엄샵에서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티셔츠에 쓰인 보라와 노랑은 의미가 담긴 색이에요. 

보라는 식민지 역사의 질곡과, 아픔을 상징해요. 깊은 고통의 멍자욱. 하지만 동시에,
차가운 외면의 가시밭을 묵묵히 지나서, 그리고 암담한 침묵의 벽을 용감하게 깨고 
'일본군위안부'제도의 잔인한 모습을 증언한 여성의 용기, 그 장엄함. 존엄을 의미합니다. 

노랑은 희망의 색, 미래의 색이지요. 보랏빛이었던 여성들의 삶, 우리의 역사를 함께 희망의 노랑으로
바꾸어 나가는것. 결국 할머니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함께 보랏빛을 마주해온 우리의 색이에요.
일본정부의 사죄가 이루어지고, 너무나 오랫동안 왜곡된 역사의 마디를 청산하고, 
정의와 인권을 다시 세운 그날. 언젠가 함께 그 날을 맞을 우리의 색입니다.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에서 소중한 역사의 기록을 옷에 담아 기억해요 :)
성미산자락,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을 꼭 찾아가 보아요.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11길 20 전쟁과여성인권 박물관
문의 
02-392-5252(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02-365-4016(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